IT정리노트

블로그 이미지

Edward. K

메멘토적 기억능력을 소유한 개발자 노트.

'Programming'에 해당되는 글 154건

제목 날짜
  • [ Spring Boot + Quasar ] 2. Quasar UI / component 가져다 쓰기 2021.06.21
  • [Spring Boot + vue.js] 1. 프로젝트 환경설정1 2021.06.18
  • [Spring Boot + vue.js] 2. GitHub 연결 2021.06.18
  • [Spring Boot + vue.js] 3. 프로젝트 실행 2021.06.18
  • 이클립스에서 숨겨진( .* ) 파일 보이기 2021.06.18

[ Spring Boot + Quasar ] 2. Quasar UI / component 가져다 쓰기

Programming 2021. 6. 21. 14:33
반응형

    1. [ Spring Boot + Quasar ] 1. 프로젝트 환경설정 
★ 2.
[ Spring Boot + Quasar ] 2. Quasar UI / component 가져다 쓰기


0. 기본 화면 Flow
 
      프로젝트폴더/src/index.template.html 
      url접속시 routes.js 설정 정보에 따라.  MainLayout.vue의  <router-view/>  태그에 해당하는 파일을 보여준다.

/ 접속시 pages/Index.vue ,    /login 접속시 pages/login.vue 파일을  MainLayout.vue의 <router-view/> 태그에 삽입


UI 는 https://quasar.dev/에서 원하는 UI를 가져다가 가공하여 사용하면 된다.

1. Layout 변경.
   1.1. https://quasar.dev/layout-builder 에 접속  원하는 Layout를 선택합니다.

이것저것 만져보자.
이것저것 바꾸고 원하는 UI 확인후 CONTINUE
또 이것저것 만져보고 CONTINUE
이것저것 만져보고 EXPORT LAYOUT 선택
소스를 복사한 후 

   1.2. 복사한 소스를  프로젝트폴더/src/layouts/MainLayout.vue  에 붙여넣고, 저장합니다.

바로 화면에 반영됩니다.


2. Quasar 에서 component 가져오기
     https://quasar.dev/vue-components/에서  원하는 컴포넌트 조회하고 ,  editor component 를 추가합니다.
     https://quasar.dev/vue-components/editor   

   2.1.  vue 파일을 추가합니다
         - 프로젝트명/src/pages/editor.vue

  2.2. https://quasar.dev/vue-components/editor  에서   '<>' 를 클릭하고 소스를 확인합니다.
        소스의  TEMPLAE / SCRIPT / STYLE 탭을 선택, 복사하여 editor.vue 에 붙여넣기 합니다.

복사하고 Editor.vue에 붙여넣기 합니다.


  2.3. routes.js 에  방금 생성한 editor.vue uri 정보를 등록합니다.


  2.4. 페이지확인

* 존재하지 않는 url로 접속해보자.    routes.js 의 children 에 선언되지 않은 경로는 Error404.vue로 이동한다.

 

반응형
Posted by Edward. K

[Spring Boot + vue.js] 1. 프로젝트 환경설정

Programming 2021. 6. 18. 11:28
반응형

★ [Spring Boot + vue.js] 1. 프로젝트 환경설정
    [Spring Boot + vue.js] 2. GitHub 연결
    [Spring Boot + vue.js] 3. 프로젝트 실행

1. node.js설치    

   1.1. node.js 다운로드  > Stable 버전인 'node-v14.17.0-x64.msi' 다운로드하고 기본 설정대로 설치   한다,.
           https://nodejs.org/ko/          * 14.14.0 LTS  버전.  2021-05-17  Stable 버전 
            ------------------------------------------------------------
               * 설치 폴더 >  C:\Program Files\nodejs\
               * 설치 확인 >  C:\Users\uuser>npm -v
                                   6.14.13
            ------------------------------------------------------------
              * Node.js를 설치하게 되면 Node Package Manager인 NPM은 자동으로 설치된다.
                이를 통해 원하는 패키지를  npm install ~~ 의 형태로 설치할 수 있고,
                작성 코드를 빌드하고 서버를 켜는 행위도 npm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1.2. vue-cli 설치
               npm install -g @vue/cli

2. Eclipse Vue.js 플러그인 설치
     Help -> Eclipse Marketplace... 에서 Vue.js :: CodeMix... 설치



3. Eclipse  spring boot + vue 프로젝트 설정 
       3.1.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            

New > Spring Starter Project

 

  - Spring Boot DevTools       : 스프링 부트에서 제공하는 개발 편의를 위한 모듈
                > 변경된 코드를 서버 또는 화면에 신속하게 반영해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
  - Lombok      : 반복되는 getter, setter, toString 등의 메서드 작성 코드
                > 어노테이션을 통해  get,set메서드를 컴파일과정에서 생성
  - Oracle Driver     : Oracle JDBC Driver
  - Spring Security       : Spring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의 보안(인증과 권한, 인가 등)을 담당하는 스프링 하위 프레임워크
  - Spring Web       : 웹개발에 필요한 종속된  의존성 디스크립터들의 집합
               > starter-web/  starter-webmvc/ spring-boot-starter-tomcat/ tomcat-embed-core/ tomcat-embed-logging-juli

       3.2. Vue-CLI 프로젝트 생성 
             3.2.1. Command창 실행후, '3.1' 에서 생성한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
             3.2.2. vue create vue --no-git     
                      > vue create 프로젝트명 git미생성
   ( vue.js 프로젝트 생성시 옵션이 없으면 자동으로 .git을 생성함)
                    *  vue create 명령어가 처음이라면 아래 문구를 맞이한다.  Y 입력한다. ( 캡쳐 못함)
                           ?  Your connection to the default npm registry seems to be slow.
                           Use https://registry.npm.taobao.org for faster installation? (Y/n)  
                    * Default (Vue 3) ([Vue 3] babel, eslint) 를 선택. ( 키패드 이동)

Default (Vue 3) ([Vue 3] babel, eslint) 를 선택.

             3.2.3. Eclipse 에서 vue 프로젝트 생성 확인


4. Eclipse  spring boot + vue 프로젝트 실행
       4.1. Vue 프로젝트 실행
             4.1.1. Command창 실행후, vue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
 
                       D:\br_framework\workspaces\shop-vue-front\vue
             4.1.2. babel.config.js  수정
                      -
파일명수정 : vue.config.js
                          *파일명 수정안하고 npm run build 시 에러 발생


                      - 코드 수정(vue.config.js)

module.exports = {
  //presets: [    '@vue/cli-plugin-babel/preset'  ]  // default code
  outputDir: "../src/main/resources/static",
  indexPath: "../static/index.html",
  devServer: {
      port : 9091   // 접속 포트 변경
    , proxy: "http://localhost:9191"     // devServer :  Back-End , 즉 Spring Boot의 내장 was의 주소를 작성하게 되면 된다.
  },
  chainWebpack: config => {
    const svgRule = config.module.rule("svg");
    svgRule.uses.clear();
    svgRule.use("vue-svg-loader").loader("vue-svg-loader");
  }
};

             4.1.2. npm install              * ../vue/package.json에 설정된 모든 패키지 설치
                        * package.json 이 변경된 경우에만 

                   WARN 은 일단 PASS..

             4.1.2. npm run build         
* vue build

             4.1.3.  build 확인.  '4.1.2.(vue.config.js)' 에서 설정한 경로에 파일이 배포되었는지 확인.


5. spring boot , vue 사이트 접속 확인 
       5.1. vue 사이트 접속 확인
             4.1.3.  npm run serve    * run server 

           
             4.1.3. 
Vue 사이트 접속 확인  http://localhost:9091/

       5.2. Spring Boot 사이트 접속 확인
             5.2.1. Eclipse > Windows > Show View > Other..      BootDashboard 추가
 


             5.2.2. 생성한 boot 프로젝트 서버 실행


             5.2.3.  boot 접속 확인

 

 

  이제 Boot에서 가공한 정보를 Vue에서 보여주자

더보기

*확인 필요* 

  npm install 시 'WARN optional SKIPPING OPTIONAL DEPENDENCY'에러
    ------------------------------------------------------------------------------------------
      npm WARN optional SKIPPING OPTIONAL DEPENDENCY: fsevents@2.3.2 (node_modules\fsevents):
      -->   fsevents 패키지 모듈은 macOS(OSX)용 이므로 windows에서 경고 메시지가 출력됨
            OPTIONAL DEPENDENCY 이기 때문에 그대로 skip해도 문제 없음.


        * 경고 메시지 없애는 방법  ** 아래  방식 모두 안됨...
                    - package.json 파일에 다음을 추가
                        ,  "optionalDependencies": {   "fsevents": "*"  }
                         혹은
                        , "skip": ["fsevents"] 

                    - 설치 명령 실행
                    npm install --no-optional
                   ---------------------------------------------------------------

반응형
Posted by Edward. K

[Spring Boot + vue.js] 2. GitHub 연결

Programming 2021. 6. 18. 11:25
반응형

    [Spring Boot + vue.js] 1. 프로젝트 환경설정
★ [Spring Boot + vue.js] 2. GitHub 연결
    [Spring Boot + vue.js] 3. 프로젝트 실행




1. 프로젝트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  Team > Share Project...    선택.

2. Git 선택후 Next 

3. 로컬 저장소 설정
   3.1. Use or create repository in parent folder of project  체크       *
선택한 프로젝트 폴더 내에 로컬 저장소 생성
   3.2. Create Repository 버튼 선택.
   3.3. Project 선택후 Finish

    3.4. DataBase 아이콘이 추가되었다.

4.  GitHub 설정
    이클립스 Window > Show View > Others  선택하고,   Git Repositories 선택 , Open 
 

     git 프로젝트들이 보인다..

5. Github 사이트에 들어가서  프로젝트가 저장될 Repository 생성
   5.1. https://github.com/  로그인 후 , Repositories New 선택


   5.2. Create Repository

 

   5.3. Create Repository repository 를 확인하고,  주소를 복사(붉은 테두리 클릭) 한다.

 

6. 이클립스에서 GitHub 연결하기
   5.1.    '4.' 에서 만든 git repo 선택후 Remotes 마우스 오른쪽 클릭.  CreateRemote.. 선택

   6.2. Remote name : origin , Create 

   6.3.  Change.. 버튼 클릭( '5.3' 에서 복사한 정보가 자동 세팅된다. ), Finish 버튼 클릭 


   6.4. save & push


7. GitHub  Commit & Push
  7.1. 프로젝트 > Team > Commit 선택

  7.2.수정항목 모두 선택, comment 입력후  Commit and Push... 

  7.3.Next

  7.4. Finish

  7.5. Close

  7.6. GitHub 확인 

 

반응형
Posted by Edward. K

[Spring Boot + vue.js] 3. 프로젝트 실행

Programming 2021. 6. 18. 11:23
반응형

    [Spring Boot + vue.js] 1. 프로젝트 환경설정
    [Spring Boot + vue.js] 2. GitHub 연결
★ [Spring Boot + vue.js] 3. 프로젝트 실행

GitHub Fetch가 완료되었다면 이제 로컬에서 프로젝트를 실행해보자.
앞선 포스트의 뒷부분에 설명되어 있으나..  다시 한번 리뷰하는 차원에서..
     * [Spring Boot + vue.js] 1. 프로젝트 환경설정


1. Spring Boot 실행 

2. Vue 실행 
   2.1. 패키지 다운로드  * package.json 파일이 수정되었기 때문에 dependencies모듈들을 설치하자.
         vue 폴더로 이동하여 npm install

   2.2. npm run build  * 배포할 파일들을 생성합니다.  * vue.config.js 에서 설정한 경로에 파일들이 배포됩니다.


   2.3. 개발서버(웹팩) 구동    npm run serve   


   2.4. 접속 확인
   아래 블로그에서 소스를 가져다가 일부 설정만 수정후 테스트 하였다
    *   [진서의 개발노트] https://dev-jsk.tistory.com/127   

 

[Spring Boot + Vue.js] 게시판 만들기 - 소개

게시판 구성 Vue.js 학습 후 해당 기술을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 게시판을 만들어 보려고 한다. 개발 환경 IDE Visual Studio Code API Java 8 Spring Boot 2.4.1 Docker Mysql Mybatis APP Vue Vuetify Vuex Axio..

dev-jsk.tistory.com

* vue 잘 뜨고.  spring boot 에서 DB데이터도 잘 가져온다.

반응형
Posted by Edward. K

이클립스에서 숨겨진( .* ) 파일 보이기

Programming 2021. 6. 18. 09:46
반응형

vue를 해보고 있는데..
 이클립스에서   .browserslistrc ,  .eslintrc.js   설정 파일이 보이지 않을 경우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이클립스 필터에서 .* 파일들은 기본적으로 숨겨져 있다.
하지만 EsLint , browserslist 의 설정 파일들 또한  파일명이 없기 때문에 보여져야 한다.


1.  ① 좌측의 익스플로러 창에서 ':' 버튼을 선택하거나,  좌측 익르플로러 창 활성화(영역선택) 후 'Ctrl+F10'  혹은  
     ② Window > Navigation > Show View Menu 를 선택하면.
     ③ 의 Menu 창에서 Filters.. 를 선택합니다.

 2.  Java Element Filters 창에서  .*resources  의 체크상태를 해제 하고  OK 버튼 선택.

3. 보이지 않았던  파일들이 쨘~~.

 

반응형
Posted by Edward. K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블로그 이미지

메멘토적 기억능력을 소유한 개발자 노트.

by Edward. K

공지사항

    최근...

  • 포스트
  • 댓글
  • 트랙백
  • 더 보기

태그

  • 전자정부프레임워크
  • Graphic
  • iBATIS
  • ERwin
  • Eclipse
  • 사업 이야기
  • EkNote
  • 가상화폐무료
  • EditPlus
  • 미네르바
  • 중독성게임
  • STS
  • tomcat
  • 캡쳐툴
  • rocketdock
  • 플래시 게임
  • 색상코드표
  • egov
  • 컴퓨터 관리
  • 개한민국
  • Flash Player
  • toad
  • netbeans
  • Jboss
  • 이미지 편집
  • sqlgate
  • android
  • flex
  • 이클립스
  • eclipse plugin

글 보관함

«   2025/10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링크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792)
행운이와함께 (1)
EkNote Project (18)
ARIS (0)
Android (2)
LINK (39)
UML (9)
Programming (154)
Cobol (0)
ASP (0)
CSS (5)
C_C++ (2)
IBatis (2)
JSP (3)
JAVA (76)
JavaScript (44)
PHP (2)
Utility (76)
Protable (3)
MobileProgram (4)
SKT (0)
KTF (0)
LGT (0)
자료들 (4)
DB (82)
mongoDB (0)
MySQL (8)
Oracle (61)
MSSQL (4)
Graphic (8)
Flash (3)
PhotoShop (3)
SourceFactory (4)
Collection (73)
작가의기막힌상상력 (14)
미소를찾아보는공간 (44)
내심장은작동중일까 (6)
멀더와스컬리의노트 (3)
이건어디에사용할까 (6)
Edward (275)
나만 알기엔 아까워 (100)
기억하기 위한 기록 (123)
시선이 머무는 공간 (50)
숨기고 싶은 이야기 (2)

카운터

Total
Today
Yesterday
방명록 : 관리자 : 글쓰기
Edward. K's Blog is powered by daumkakao
Skin info material T Mark3 by 뭐하라
favicon

IT정리노트

메멘토적 기억능력을 소유한 개발자 노트.

  • 태그
  • 링크 추가
  • 방명록

관리자 메뉴

  • 관리자 모드
  • 글쓰기
  • 분류 전체보기 (792)
    • 행운이와함께 (1)
    • EkNote Project (18)
    • ARIS (0)
    • Android (2)
    • LINK (39)
    • UML (9)
    • Programming (154)
      • Cobol (0)
      • ASP (0)
      • CSS (5)
      • C_C++ (2)
      • IBatis (2)
      • JSP (3)
      • JAVA (76)
      • JavaScript (44)
      • PHP (2)
    • Utility (76)
      • Protable (3)
    • MobileProgram (4)
      • SKT (0)
      • KTF (0)
      • LGT (0)
      • 자료들 (4)
    • DB (82)
      • mongoDB (0)
      • MySQL (8)
      • Oracle (61)
      • MSSQL (4)
    • Graphic (8)
      • Flash (3)
      • PhotoShop (3)
    • SourceFactory (4)
    • Collection (73)
      • 작가의기막힌상상력 (14)
      • 미소를찾아보는공간 (44)
      • 내심장은작동중일까 (6)
      • 멀더와스컬리의노트 (3)
      • 이건어디에사용할까 (6)
    • Edward (275)
      • 나만 알기엔 아까워 (100)
      • 기억하기 위한 기록 (123)
      • 시선이 머무는 공간 (50)
      • 숨기고 싶은 이야기 (2)

카테고리

PC화면 보기 티스토리 Da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