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정리노트

블로그 이미지

Edward. K

메멘토적 기억능력을 소유한 개발자 노트.

'Programming/JAVA'에 해당되는 글 76건

제목 날짜
  • Eclipse WTP .. Web service 사용하기. 2008.07.28
  • ANT Manual 2008.07.24
  • System 정보를 가져온다. properties.getProperty 2008.07.22
  • JSP 한글 인코딩 2008.07.22
  • Command here 2008.07.21

Eclipse WTP .. Web service 사용하기.

Programming/JAVA 2008. 7. 28. 17:02
반응형

Eclipse WTP 에서 제공되는  web service를 사용해보자

iBatis Manual 을 작성하려고 만들어둔 이미지들을 재활용 했다..-_-;


   1. j2ee web 프로젝트 생성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개발환경 세팅.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project 설정  : content dir 설정
사용자 삽입 이미지

   4. 라이센스 확인
사용자 삽입 이미지

   5. 프로젝트 생성 완료.
사용자 삽입 이미지

   6. 서버설정 - 설치된 서버를 선택한다.  , NEXT
사용자 삽입 이미지


   7.  설치 디렉토리와 JRE 버젼 선택 ( 1.5로 할 것이므로..), finish

사용자 삽입 이미지

   8.  서버라이브러리 추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9.  서버생성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테스트 할 프로젝트 추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10.  서버 실행 확인.

사용자 삽입 이미지

   11. 서버 root path 확인.
사용자 삽입 이미지
  
12. 접속 확인.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Posted by Edward. K

ANT Manual

Programming/JAVA 2008. 7. 24. 11:38
반응형
알고 있는 것만 사용하고 싶다구...ㅜㅜ

http://ant.apache.org/manual/


출처 : http://blog.naver.com/ktyuzz/150026864007

 # build.xml 파일의 기본구조
<?xml version="1.0" encoding="euc-kr"?>
<project name="projectName" default="defaultTargetName" basedir=".">
 <property name="" location=""/>
 <target name="">...</target>
 <target name="" depends="">...</target>
 <target name="" depends="">...</target>  
 <target name="" depends="" if="">...</target>
 <target name="" depends="" unless="">...</target>  
</project>

# project 태그
 1) name : 프로젝트의 이름
 2) default : Ant를 실행할때 target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 기본적으로 사용할 target (필수)
 3) basedir : 경로 계산할때의 기준 디렉토리. 지정하지 않은 경우 현재 디렉토리가 basedir로 사용된다. basedir 프로퍼티의 값으로도 사용된다.

# target 태그
 1) name : 타켓의 이름 (필수)
 2) depends : 이 타겟이 의존하고 있는 타겟의 목록. 각 타켓의 이름은 ,(콤마) 로 구분한다.
 3) if : 지정한 프로퍼티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 타겟을 수행한다.
 4) unless : 지정한 프로퍼티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 타겟을 수행한다.
 5) description : 타겟이 수행하는 기능에 대한 설명
 
# ant 경로 규칙
 1) * : 0개 또는 그이상의 글자가 매칭
 2) ? : 한글자와 매칭
 3) ** : 다계층을 나타냄  예) dir/**/A => dir/dir1/A, dir/dir2/A, dir/dir1/dirA/A 다 포함.
 4) / 또는 \ 으로 끝날 경우  : /** 또는 \** 과 동일
 
# includes 속성 : 포함시킬 파일의 목록 (include 태그, includesfile 속성으로 사용 가능)

# excludes 속성 : 제외시킬 파일의 목록 (exclude 태그, excludesfile 속성으로 사용 가능)

# excludes 속성 명시 여부에 상관없이 제외 되는 것들 : 제외 시키고 싶지 않을 경우 defaulteexcludes = "no" 설정
 - **/*~, **/#*#, **/.#*, **/%*%, **/._*
 - **/CVS, **/CVS/**, **/.cvsignore
 - **/SCCS, **/SCCS/**
 - **/vssver.scc
 - **/.svn, **/.svn/**
 - **/.DS_Store

# fileset 태그 : 파일 집합
 1) dir : 파일 집합을 표시할 때의 루트 디렉토리 (dir 또는 file 중 한개 반드시 명시)
 2) file : 한 개의 파일을 명시할 때 사용하는 속성  (dir 또는 file 중 한개 반드시 명시)
 3) casesensitive : 대소분자 구분 여부 (true/false) 기본값 true
 4) followsymlinks : 심볼릭 링크를 따라갈지의 여부 (true/false) 기본값 true)
  사용 예)
 <fileset dir="${basedir}/src" defaultexcludes="no">
  <include name="**/*.java"/>
  <include name="**/*.properties"/>
  <exclude name="**/*.bak"/>
 </fileset>

# dir 태그 : 디렉토리 집합
 1) dir : 디렉토리 집합을 표시할 때의 루트 디렉토리 (필수)
 2) casesensitive : 대소분자 구분 여부 (true/false) 기본값 true
 3) followsymlinks : 심볼릭 링크를 따라갈지의 여부 (true/false) 기본값 true)
  사용 예)
 <dirset dir="" includes="" excludes=""/>
 
# patternset 태그 : 재사용 가능한 파일 집합
 사용 예)
 <patternset id="commonJar">
  <include name="servlet.jar"/>
  <include name="mail.jar"/>
  <include name="activation.jar"/>    
 </patternset>
 
 <fileset dir="j2eelib">
  <patternset refid="commonJar"/>
 </fileset>
 
# path 태그 : 재사용 가능한 경로 목록의 집합
 사용 예)
 <path id="project.class.path">
  <pathelement location="fileupload/WEB-INF/classes"/>
  <pathelement path="lib/servlet.jar;lib/commons-fileupload-1.0.jar"/>
 </path>
 
 <classpath refid="project.class.path"/>
 
 - location : 하나의 파일 또는 디렉토리 지정
 - path : 여러 경로를 지정 (; 또는 : 으로 구분)


# 아래의 build.xml 파일에서 ant makeZip 을 할경우 complie 은 두번이 아닌 한번만 실행되게 된다.
 <project name="build" default="makeZip" basedir=".">
  <target name="compile"/>
   <target name="srcCopy" depends="compile"/>
   <target name="classCopy" depends="compile"/>
   <target name="makeZip" depends="srcCopy, classCopy"/>
 </project>

# property 태그 : property 지정
 1) name : 프로퍼티의 이름
 2) value : 프로퍼티의 값을 지정 (name 속성 지정시 value 또는 location 둘중 하나 반드시 사용)
 3) location : 지정한 경로명의 절대 경로명을 값으로 지정 (name 속성 지정시 value 또는 location 둘중 하나 반드시 사용)
 4) resource : 프로퍼티 파일을 읽어 올 때 사용할 자원명을 지정 (name 속성 사용않는 경우 resource, file, environment 중 하나 반드시 사용)
 5) file : 지정한 파일로부터 프로퍼티 목록을 읽어 온다 (name 속성 사용않는 경우 resource, file, environment 중 하나 반드시 사용)
 6) environment : 환경 변수를 읽어 올때 사용할 접두어를 지정 (name 속성 사용않는 경우 resource, file, environment 중 하나 반드시 사용)
 7) classpath : 자원으로부터 프로퍼티 파일을 읽어 올 때 사용할 클래스 패스
 8) classpathref : 클래스패스로 사용할 경로를 path 태그 로 부터 가져온다.
 9) prefix : resource 또는 file 속성을 사용하여 읽어 온 프로퍼티를 참조할 때 사용할 접두어를 지정한다. 만약 접두어 맨뒤에 "." 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이 접두어 뒤에 붙는다.
 사용 예)
 <property file="${basedir}/buildprop/global.properties"/>
 
 <property environment="env"/>
 <echo message="JAVA_HOME ${env.JAVA_HOME}"/>

# 기본 프로퍼티 : property 태그 사용하지 않아도 사용 가능한 프로퍼티
 - 모든 자바의 시스템 프로퍼티
 - basedir : 프로젝트의 기본 디렉토리의 절대 경로. project 태그의 basedir 속성에 명시된 값
 - ant.file : 빌드 파일의 절대 경로
 - ant.version : Ant 버전
 - ant.project.name : 현재 실행주인 프로젝트의 이름. project 태그의 name 속성에 명시된 값
 - ant.java.version : Ant 가 발견한 자바 버전.
 
# javac
 1) srcdir : 소스가 위치한 디렉토리 (src 태그로 지정가능. 둘 중 하나 필수)
 2) descdir : 생성된 클래스가 위치할 디렉토리를 지정. javac -d 옵션과 동일
 3) classpath : 컴파일할 때 사용할 클래스패스 (class 태그로 지정 가능)
 4) classapathref : path 태그로 지정한 경로를 클래스패스로 참조
 5) encoding : 소스파일의 인코딩을 지정. javac -encoding 옵션과 동일
 6) nowarn : 컴파일시 -nowarn 옵션 추가 (on) 기본값은 off
 7) deprection : 컴파일시 -deprecation 옵션 추가 (on) 기본값은 off
 사용 예)
 <javac srcdir="" descdir="">
  <classpath>
   <fileset>
    <patternset refid=""/>
   </fileset>
  </classpath>
 </javac>
 
# jar
 1) destfile : 생성할 jar 파일 지정
 2) basedir : jar 파일로 압축할 기본 디렉토리 지정

 사용 예)
  <jar destfile="${disc}/lib/app.jar" basedir="${build}/classes"/>
 
  <jar destfile="${disc}/lib/app.jar">
   <fileset dir="${build}/classes" exclude="**/test*.class"/>
   <fileset dir="${src}/resources"/>
  </jar>

# zip
 - 기본적으로 jar 사용법와 같이 사용 가능.
 - zipfileset 태그를 사용하여 압축되는 파일의 경로명을 변경할 수 있음.
 - zipfileset 의 속성
  1) prefix : ZIP 파일에 압축될 때 변경되어 들어갈 경로명
  2) fullpath : 특정 파일의 변경될 경로를 지정
  3) filemode : 유닉스 기반의 시스템에서 압축되는 파일의 모드를 지정. 기본값은 644
  4) dirmode : 유닉스 기반의 시스템에서 압축되는 디렉토리의 모드를 지정. 기본값은 775
 사용 예)
 <zip destfile="${dist}/example.zip">
  <zipfileset dir="build/api" prefix="docs/api"/>
  <zipfileset dir="${basedir}"
includes="chang.log.20031227" fullpath="docs/chagelog.txt"/>
  <zipfileset dir="build/classes" prefix="classes"/>
  <zipfileset dir="build/src" prefix="src"/>
 </zip>

# war
  사용 예)
  <war destfile="main.war" webxml="src/metadata/web.xml">
   <fileset dir="src/mainapp/html"/>
   <fileset dir="src/mainapp/jsp"/>
   <lib dir="lib">
    <exclude name="logging2.jar"/>
   </lib>
   <classes dir="build/main/classes"/>
   <zipfileset dir="src/imagefile/images" prefix="images"/>
  </war>

# tar
 - 기본 사용 법 : <tar destfile="" basedir=""/>
 - tarfileset 태그
 - targileset 의 속성
  1) mode : 3자리 8진수값. 775 등의 값을 갖는다.
  2) username : 파일에 대한 사용자 이름을 지정한다. UID와는 다르다.
  3) group : 파일에 대한 그룹 이름을 지정한다. GID와는 다르다.
  4) prifix : tar 파일에 압축될 때 변경되어 들어갈 경로명
  5) fullpath : 특정 파일의 변경될 경로를 지정
  6) preserveLeadingSlashes : 맨 앞의 '/'를 유지할지의 여부를 지정. 기본값 : false
 사용 예)
 <tar destfile="${dist}/example.tar">
  <tarfileset dir="build/api" prefix="docs/api"/>
  <tarfileset dir="${basedir}" includes="chage.log.20031227" fullpath="docs/chagelog.txt"/>
  <tarfileset dir="build/classes" prefix="classes"/>
  <tarfileset dir="build/src" prefix="src"/>
 </tar>
 <gzip zipfile="${dist}/example.tar.gz" src="${dist}/example.tar"/>
 
 <tar destfile="${dist}/example.tar.gz" basedir="${build}" compression="gzip"/>

# javadoc
 1) sourcepath : 소스 파일의 경로 지정. 하위 디렉토리까지 모두 처리 (sourcepath, sourcepathref, sourcefiles 중 하나는 필수)
 2) sourcepathref : path 에서 지정한 경로를 소스 파일의 경로로 사용 (sourcepath, sourcepathref, sourcefiles 중 하나는 필수)
 3) sourcefiles : 소스 파일의 목록을 지정. 각 파일은 콤마(,)로 구분 (sourcepath, sourcepathref, sourcefiles 중 하나는 필수)
 4) destdir : 결과 파일이 생성될 디렉토리
 5) packagenames : 콤마로 구분된 패키지 파일의 목록. 패키지명이 *로 끝날 경우 그 하위 패키지까지 모두 처리한다.
 6) excludepackagenames : 문서를 생성하지 않을 패키지의 목록을 지정. 각 패키지는 콤마(,)로 구분. 패키지명이 *으로 끝날 경우 그 하위 패키지까지 모두 제외
 7) access : 접근 모드를 지정. public, protected, package, private 중 한 가지 값. 기본값 : protected
 8) public : 생성되는 API 문서에 public 클래스와 멤버만 보여준다.
 9) protected : 생성되는 API 문서에 protected/public 클래스와 멤버만 보여준다.
 10) package : 생성되는 API 문서에 package/protected/public 클래스와 멤버만 보여준다.
 11) private : 생성되는 API 문서에 private/package/protected/public 클래스와 멤버만 보여준다.
 12) encoding : 소스 파일의 인코딩을 명시.
 13) locale : ko_KR과 같이 사용할 로케일을 지정.
 14) charset : 생성된 문서를 보여줄 때 사용할 케릭터셋을 지정.
 15) version : @version 주석을 포함.
 16) author : @author 주석을 포함.
 17) nodeprecated : deprecated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18) nodeprecatedlist : deprecated 목록을 생성하지 않는다.
 19) windowtitle : 문서를 위한 제목을 텍스트로 입력.
 20) overview : HTML 문서로부터 개략 문서를 읽어 온다.
 21) helpfile : 도움말로 사용할 HTML 파일을 지정.
 22) stylesheetfile : 스타일 시트로 사용할 파일을 지정.
 23) header : 생성될 HTML 파일의 헤더로 사용될 HTML 코드를 명시
 24) footer : 생성될 HTML 파일의 풋터로 사용될 HTML 코드를 명시
 
 사용 예)
 <javadoc destdir="{build}/api"
  sourcepath="src"
  packagenames="javacan.main.*"
  excludepackagenames="javacna.main.test.*"
  windowtitle="Main 웹 어플리케이션"
  encoding="euc-kr" />
 
 <javadoc destdir="{build}/api"
  windowtitle="Main 웹 어플리케이션"
  encoding="euc-kr">
  <packageset dir="src" defaultexcludes="yes">
   <include name="javacan/main/**"/>
   <exclude name="javacan/main/test/**"/>   
  </packageset>
 </javadoc>
 
# copy
 1) file : 복사할 파일을 지정 (fileset으로 복사할 파일 목록을 지정하지 않는 경우 필수)
 2) tofile : 복사될 파일을 지정
 3) todir : 원본을 복사할 디렉토리를 지정
 4) overwrite : 기존 파일 덮어쓰기 여부 (true/false) 기본값 : false
 5) preservelastmodified : 원본의 최종 수정 날짜 유지 여부(true/false) 기본값 : false
 6) includeEmptyDirs : 텅빈 디렉토리도 복사할지의 여부(true/false) 기본값 : true
 사용 예)
 <copy file="${workspace}/readme.txt.200312" tofile="${build}/readme.txt"/>
 <copy file="${workspace}/readme.txt.200312" todir="${build}"/>
 <copy todir="${build}/src">
  <fileset dir="${workspace}/src"/>
 </copy>
 
# mkdir
 사용 예)
 <mkdir dir="${build}/webapp/WEB-INF/classes"/>
 webapp/WEB-INF 또한 존재 하지 않는 경우 생성

# delete
 사용 예)
 <delete>
  <fileset dir="${build}"/>
 </delete>
 
 위의 경우 ${build} 와 그 하위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삭제. 그러나 디렉토리는 남아있음.(fileset 은 파일의 집합)
 아래와 같이 해주면 디렉토리도 전부 삭제
 
 <delete includeEmptyDirs="true">
  <fileset dir="${build}"/>
 </delete>
 
# ant : 또 다른 빌드 파일의 실행. 여러개의 서브 프로젝트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유용
 1) antfile : 사용할 빌드 파일을 지정. 명시하지 않을 경우 build.xml. dir 속성에 주어진 디렉토리에 대해 상대경로
 2) idr : 새로운 Ant 프로젝트의 basedir을 지정.
 3) target : 수행할 타켓을 지정
 4) output : 새로운 Ant 프로젝트의 수행 결과를 저장할 파일을 명시
 5) inheritAll : 새로운 Ant 프로젝트에 현재 Ant 프로젝트의 모든 프로퍼티 전달 여부(true/false). 기본값 : true
 6) inheritRefs : 새로운 Ant 프로젝트에 현재 Ant 프로젝트의 모든 참조 전달 여부(true/false). 기본값 : true
 사용예)
 <target name="makeSubProject">
  <ant dir="subproject/logging" target="prepare">
   <property name="module1.4" value="jdk1.4"/>
  </ant>
  <ant dir="subproject/common" target="prepare"/>
 </target>

# java
 1) classname : 실행할 클래스 이름 (classname, jar 둘중 하나 필수)
 2) jar : 실행할 jar 파일의 위치 (classname, jar 둘중 하나 필수)
 3) classpath : 사용할 클래스패스를 지정
 4) classpathref : 미리 지정한 path 태그를 참조
 5) fork : 세러은 가상머신에서 클래스 수행 여부 (true/false). 기본값 : false
 6) maxmemory : 포크된 가상 머신에 할당할 메모리의 최대 크기를 지정 (fork가 false인 경우 무시)
 7) dir : 가상 머신을 호출할 디렉토리 (fork가 false인 경우 무시)
 사용 예)
 <java classname="javacan.main.prepare.TableInitilizer">
  <classpath>
   <pathelement path="${java.class.path}"/>
  </classpath>
  <sysproperty key="module" value="test"/>
  <arg value="-init -d"/>
 </java>
 
# native2ascii : 유니코드로의 변환
 1) src : 변환할 파일들이 위치한 기준 디렉토리
 2) dest : 변환한 결과를 저장할 디렉토리
 3) encoding : 변환할 파일의 인코딩 (기본으로 JVM의 기본 인코딩 사용)
 4) reverse : 이스케이프된 유니코드를 지정한 인코딩을 사용하는 문자열로 변환.
 사용 예)
 <native2ascii src="${config}"
  dest="${build}/config"
  includes="**/*.properties"
  excludes="**/test/*.properties"
  encoding="EUC-KR"/>


반응형
Posted by Edward. K

System 정보를 가져온다. properties.getProperty

Programming/JAVA 2008. 7. 22. 15:06
반응형

Properties properties = System.getProperties();
  System.out.println(properties.getProperty("java.version"));

 

아래의 Parameter로 Key값을 입력하면 해당하는 System 정보를 얻어올 수 있다.


----------------------------------------------------------------------------------------


       Key         Description of Associated Value


java.version                          Java Runtime Environment version
java.vendor                           Java Runtime Environment vendor
java.vendor.url                       Java vendor URL
java.home                             Java installation directory
java.vm.specification.version   Java Virtual Machine specification version
java.vm.specification.vendor   Java Virtual Machine specification vendor
java.vm.specification.name     Java Virtual Machine specification name
java.vm.version                     Java Virtual Machine implementation version
java.vm.vendor                     Java Virtual Machine implementation vendor
java.vm.name                       Java Virtual Machine implementation name
java.specification.version      Java Runtime Environment specification version
java.specification.vendor       Java Runtime Environment specification vendor
java.specification.name         Java Runtime Environment specification name
java.class.version                Java class format version number
java.class.path                    Java class path
java.library.path                   List of paths to search when loading libraries
java.io.tmpdir                       Default temp file path
java.compiler                       Name of JIT compiler to use
java.ext.dirs                         Path of extension directory or directories
os.name                              Operating system name
os.arch                               Operating system architecture
os.version                           Operating system version
file.separator                        File separator ("/" on UNIX)
path.separator                      Path separator (":" on UNIX)
line.separator                       Line separator ("\n" on UNIX)
user.name                            User's account name
user.home                            User's home directory
user.dir                                User's current working directory



반응형
Posted by Edward. K

JSP 한글 인코딩

Programming/JAVA 2008. 7. 22. 15:04
반응형

JSP page 선언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요청에 의해 전달된 문자열

request.setCharacterEncoding("EUC-KR");

response.setCharacterEncoding("EUC-KR");


contentType의 설정을 변환하여 처리하는 방법(사용하지 않음)

request.set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response.set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반응형
Posted by Edward. K

Command here

Programming/JAVA 2008. 7. 21. 13:47
반응형

일전에 소개했던..
'
원하는 폴더에서 CMD창 띄우기'(http://eknote.tistory.com/582)  
를 사용하면 불편한게 있다. 원하는 폴더의 상위 폴더에서 cmd창이 열리게 되는 문제인데..

이를 해결하는 방법이다.

1. 쉬운 방법
   마소에서 제공하는 방법 사용하기
    http://www.microsoft.com/windowsxp/downloads/powertoys/xppowertoys.mspx
     |_ 화면 우측에 'Open Command Window Here '  항목을 다운 받으면 된다.
   ※ 이넘을 설치 했다면, 아래 항목 키값 제거해준다~

2. 기존것 수정
     시작 > 실행 > regedit
     경로
      : HKEY_LOCAL_MACHINE
             |_ SOFTWARE
                 |_ Classes
                        |_ Folder
                              |_shell
                                  |_ CmdPrompt
                                       |_ command

   cmd.exe %L       ->   cmd.exe /k "cd %L"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수정된 reg설치 파일 다운로드
   
invalid-file


반응형
Posted by Edward. K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블로그 이미지

메멘토적 기억능력을 소유한 개발자 노트.

by Edward. K

공지사항

    최근...

  • 포스트
  • 댓글
  • 트랙백
  • 더 보기

태그

  • 색상코드표
  • EkNote
  • netbeans
  • flex
  • 사업 이야기
  • Eclipse
  • 중독성게임
  • 플래시 게임
  • 컴퓨터 관리
  • 캡쳐툴
  • Flash Player
  • tomcat
  • EditPlus
  • iBATIS
  • Jboss
  • 미네르바
  • 이미지 편집
  • android
  • 개한민국
  • ERwin
  • 가상화폐무료
  • 이클립스
  • eclipse plugin
  • egov
  • Graphic
  • toad
  • sqlgate
  • 전자정부프레임워크
  • STS
  • rocketdock

글 보관함

«   2025/08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링크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792)
행운이와함께 (1)
EkNote Project (18)
ARIS (0)
Android (2)
LINK (39)
UML (9)
Programming (154)
Cobol (0)
ASP (0)
CSS (5)
C_C++ (2)
IBatis (2)
JSP (3)
JAVA (76)
JavaScript (44)
PHP (2)
Utility (76)
Protable (3)
MobileProgram (4)
SKT (0)
KTF (0)
LGT (0)
자료들 (4)
DB (82)
mongoDB (0)
MySQL (8)
Oracle (61)
MSSQL (4)
Graphic (8)
Flash (3)
PhotoShop (3)
SourceFactory (4)
Collection (73)
작가의기막힌상상력 (14)
미소를찾아보는공간 (44)
내심장은작동중일까 (6)
멀더와스컬리의노트 (3)
이건어디에사용할까 (6)
Edward (275)
나만 알기엔 아까워 (100)
기억하기 위한 기록 (123)
시선이 머무는 공간 (50)
숨기고 싶은 이야기 (2)

카운터

Total
Today
Yesterday
방명록 : 관리자 : 글쓰기
Edward. K's Blog is powered by daumkakao
Skin info material T Mark3 by 뭐하라
favicon

IT정리노트

메멘토적 기억능력을 소유한 개발자 노트.

  • 태그
  • 링크 추가
  • 방명록

관리자 메뉴

  • 관리자 모드
  • 글쓰기
  • 분류 전체보기 (792)
    • 행운이와함께 (1)
    • EkNote Project (18)
    • ARIS (0)
    • Android (2)
    • LINK (39)
    • UML (9)
    • Programming (154)
      • Cobol (0)
      • ASP (0)
      • CSS (5)
      • C_C++ (2)
      • IBatis (2)
      • JSP (3)
      • JAVA (76)
      • JavaScript (44)
      • PHP (2)
    • Utility (76)
      • Protable (3)
    • MobileProgram (4)
      • SKT (0)
      • KTF (0)
      • LGT (0)
      • 자료들 (4)
    • DB (82)
      • mongoDB (0)
      • MySQL (8)
      • Oracle (61)
      • MSSQL (4)
    • Graphic (8)
      • Flash (3)
      • PhotoShop (3)
    • SourceFactory (4)
    • Collection (73)
      • 작가의기막힌상상력 (14)
      • 미소를찾아보는공간 (44)
      • 내심장은작동중일까 (6)
      • 멀더와스컬리의노트 (3)
      • 이건어디에사용할까 (6)
    • Edward (275)
      • 나만 알기엔 아까워 (100)
      • 기억하기 위한 기록 (123)
      • 시선이 머무는 공간 (50)
      • 숨기고 싶은 이야기 (2)

카테고리

PC화면 보기 티스토리 Da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