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agLibrary 사용하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JSP 태그들의 표준화 라이브러리인 JSTL을 사용해 보도록 하자.

     1. 'Standard 1.1 Taglib'   다운로드
                http://jakarta.apache.org/site/downloads/downloads_taglibs.html

                    |_ http://jakarta.apache.org/site/downloads/downloads_taglibs-standard.cgi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압축을 풀고  *.jar 파일은
            - lib/jstl.jar , standard.jar 파일을  WEB-INF/lib 디렉토리에
            - tld/(c,x,fmt,sql).tld 파일을    WEB-INF/tld  디렉토리에 복사한다.

     3. jstl 사용 설정
            WEB-INF/web.xml 파일을 수정하여 URI 에 대한 실제 파일을 정의 해주자.
                    <taglib>
                       <taglib-uri>http://java.sun.com/jstl/core</taglib-uri>
                       <taglib-location>/WEB-INF/tld/c.tld</taglib-location>
                    </taglib>

                    <taglib>
                        <taglib-uri>http://java.sun.com/jstl/xml</taglib-uri>
                        <taglib-location>/WEB-INF/tld/x.tld</taglib-location>
                    </taglib>

                    <taglib>
                         <taglib-uri>http://java.sun.com/jstl/fmt</taglib-uri>
                         <taglib-location>/WEB-INF/tld/fmt.tld</taglib-location>
                    </taglib>

            CORE     http://java.sun.com/jstl/core     :: c
            XML         http://java.sun.com/jstl/xml         :: x
            SQL         http://java.sun.com/jstl/sql         :: sql


     3.        JSP 에서의 사용
            <%@ taglib prefix="c"  uri="http://java.sun.com/jstl/core"  %>

반응형
Posted by Edward. K

Tomcat Setting

반응형
개인 학습 프로젝트인 'Eknote Project' 의 2번재 단계인 
    '2. 개발 환경 세팅.' 의 Tomcat  설치 메뉴얼이다.

1. 다운받은 파일 실행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라이센스 동의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설치 타입 선택
사용자 삽입 이미지
4. 설치 경로
    기본 경로가 아닌 c:\Tomcat5 폴더에 설치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5. 관리 페이지 암호 설정  : oracle 관리 페이지와 마찬가지로.. edward 로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6. java virtual machine 겅로를 입력한다.
    jdk 설치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겠쥐....( jre가 설치되어 있거나..)
사용자 삽입 이미지

7. 설치 완료.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Posted by Edward. K

OracleXE Setting

반응형
개인 학습 프로젝트인 'Eknote Project' 의 2번재 단계인 
    '2. 개발 환경 세팅.' 의 Oracle 10g 설치 메뉴얼이다.

다음은 다운로드 후 설치하는 과정의 이미지 캡쳐화면이다.

1.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사용자 삽입 이미지
4. oracle web 관리자 페이지 암호를 입력한다.
     edward  라는 암호를 입력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5. 설치 환경 확인
사용자 삽입 이미지
6.설치가 진행되고 데이터 베이스 홈페이지를 시작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Oracle 설치가 완료되었다.

7. 데이터 베이스 로그인
    4번 과정에서 입력한 암호를 입력한다.  ( system/ edward )
사용자 삽입 이미지

8. 관리자 화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Posted by Edward. K
반응형
13. UI 생성    [Step. 2  HTML PAGE ]

     앞서 생성된  스타일 시트를 사용하여 게시판 UI를 만든다.
     필요한 링크들도 추가해 주자.
     마찬가지로 보면 알것이기에..자세한 설명은 넘어~간다. ( 코드안에 주석을 참고 )
     ( 이미지 퀄리티가 떨어지는 몇개는 어쩔수 없다.. 그림판으로 만든거다.. --;;)
      
      - 추가된 파일
         : 파일 구조는 10. Web 리소스 구조 및 Web Service 추가 참고.
          - HTML
                PATH :  eknote/view/layout/board 
                 FILE  :  list.html, view.html, write.html
          - IMAGE
               PATH :   eknote/view/images/board

      다음 파일을 생성해둔 프로젝트 폴더에 Copy(덮어쓰기) 한다. ( 앞서 만든 css 포함)
           -  9. workSpace 리소스 구조 및 Eclipse 개발 환경 세팅  참고
흐음...글코보니..form명 정하지 않았넹.. 쿄쿄..


     




반응형
Posted by Edward. K
반응형
 
13. UI 생성    [Step. 1 스타일 시트  ]
   
  스타일시트(Cascading Style Sheets )란?   웹 페이지의 '통일성'을 위한 파일이다.
                                                        - WIKI 백과 참고 -

 다음 스타일 시트를     ekNote(프로젝트폴더)/view/css/ 에 저장하도록 한다.   

CSS 사용방법

CSS 적용 /미적용 비교

- 스타일 스트 적용후
_M#]
반응형
Posted by Edward. K